입문 5

음악은 어떻게 분석하는 걸까?(음악의 3요소, 질감, 사운드메이킹,작곡, 비트메이킹)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트메이커, 작곡가가 음악을 어떻게 분석하며 듣는지에 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음악의 3요소라고 들어보셨나요?? 음악은 멜로디, 화성, 리듬으로 이렇게 3가지로 구성이 되어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저는 여기에 비트메이커라면 한가지를 더 추가해서 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질감입니다. 요즘 음악, 특히, 힙합과 알앤비의 경우 악기들의 질감이 매우 중요합니다. 악기들의 톤이 곧 장르가 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Ex. Lofi 붐뱁) 그래서 프로듀서라면 특히 이 질감을 캐치할 줄 알아야 합니다. 오늘은 이 질감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질감은 어떻게 파악하는가 그럼 도대체 이 질감이라는건 뭘까요? 질감에는 정말 다양한 표현들이 많아 한마디로 정의하기 힘듭니다. 사운드의 퀄리티로만..

Music 2022.12.02

[공부법2편]작곡/비트메이킹은 어떻게 해야할까?(작곡 순서, 작업 순서, 레퍼런스, 카피, 테마)

안녕하세요. 오늘은 작곡/비트메이킹을 하는 순서, 방법에 대해 얘기 해보려고 합니다. 흔히 ‘작곡을 한다’ 혹은 ‘비트를 찍는다’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어두운 방안에서 건반앞에 앉은 고독한 예술가가 골똘히 고민하다가 문득 영감이 떠오르면 후다닥 곡을 쓰는 그런 이미지가 떠오르실것 같습니다. 저 또한 그런 이미지를 보고 작곡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이와 조금 다릅니다. 도대체 현실에서의 작곡/비트메이킹은 어떻게 이뤄지는지 이 글을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큰틀로는 혹의 코러스 혹은 훅 파트를 먼저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즉 먼저 메인 파트인 코러스를 만든다는 목적을 갖고 접근해야합니다. 1.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을 파악한다. 우선 곡에서 어떤 이야기를 전하고 ..

Music 2022.11.23

[공부법1편]작곡/비트메이킹 공부는 어떻게 해야할까?(독학, 레슨, 입문자 공부순서, 공부법, 힙합, 알앤비)

작곡/비트메이킹 입문자들이 꼭 알아야 할 것 안녕하세요. 오늘은 작곡, 비트메이킹 입문하시는 분들이 꼭 공부하셔야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어디서부터 공부해야하는지 막막하신 분들이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DAW사용법 공부 DAW - 나무위키 리눅스가 오픈소스에 친화적이고 리눅스 자체가 하드웨어와 커널의 다이렉트 커넥션이라 레이턴시 적은 DAW를 만들기가 쉬워 리눅스용이 대부분이다. Ardour : 오픈소스. 직접 빌딩하여 사용하면 namu.wiki 위 경우에는 모든것이 막막하게만 느껴지실 것입니다. 장비는 뭐가 필요한지, 작곡 프로그램은 뭐가 이렇게 많은지 등등. 장비가 고민이시라면 제가 작성해둔 글을 읽어보시면 답을 얻으실 수 있을겁니다. 장비와 프로그램이 마련이 됐으면, 우..

Music 2022.11.18

[3편]작곡/비트메이킹 입문 A to Z !(장비, 가상악기, 프로그램 정리 및 추천)

안녕하세요. 지난 2편의 포스팅에 이어서 오늘은 입문자들을 위한 플러그인을 추천드리고자 합니다. 여기서 플러그인이란? 가상악기, 보컬 등에 입힐 수 있는 이펙터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딜레이(노래방 에코), 리버브, 컴프레서, 이큐 등등 다양합니다. Daw를 구매하면 제공되는 기본 플러그인도 충분히 훌륭합니다. 입문자 분들은 우선 기본 플러그인들의 사용법을 숙지하시고 각각의 플러그인들을 어디에 적용하는지, 왜 쓰는지 이유를 먼저 공부를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제 생각에는 플러그인은 목적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작곡, 비트메이킹을 위한 플러그인과 믹싱을 위한 플러그인으로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믹싱을 위한 플러그인은 입문하시는 분들이 쓰기에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디테일한 영..

Music 2022.11.04

[2편]작곡/비트메이킹 입문 A to Z !(장비, 가상악기, 프로그램 정리 및 추천)

안녕하세요. 지난 1편은 작곡/비트메이킹에 필요한 장비와 미디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를 해 드렸는데요. 이번 편에서는 가상악기를 몇가지 추천 드리고자 합니다. 저의 주관적인 견해이니 구매를 결정하실때 참고만 해주세요. 참고로 제가 주로 작업하는 장르는 힙합, 알앤비 입니다. 힙합, 알앤비를 만드시는 분이라면 참고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1. Omnisphere(옴니스피어) 먼저 옴니스피어 입니다. Spectrasonics - Omnisphere 2.8 - Overview Vastly Expanded Synthesis Engine • Four Layers per patch! • New State Variable Filters • Over 500 DSP Wavetables • Powerful Granular S..

Music 2022.11.02